2024년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2024년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가 출시 1년 만에 가입자 133만 명을 돌파했다고 해요. 이에 정부는 청년도약계좌에 성실히 납입한 청년을 대상으로 혜택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그럼 어떻게 신청 방법과 혜택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60개월)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를 정부에서 기여금으로 지급하고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5년 동안 70만원씩 납입했다는 가정하에, 만기 시 5,000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되죠.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 매월 신청 / 9월 신청 기간은 2일부터 13일까지 입니다.
- 신청 조건
– 나이 : 가입일 기준 만 19세~34세 이하(군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인정)
– 소득 : 전년도의 소득이 7,500만원 이하인 경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단, 육아휴직급여,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가구 소득 : 기준 중위 250% 이하인 경우
–금융소득종합과세 : 가입일이 속한 연도부터 최근 3년 동안 한 번도 금융 소득으로 인해 세금을 내지 않은 경우
청년도약계좌 신청 클릭!
청년도약계좌 가입 절차
-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을 통해 가입 신청을 받아요.
(농협, 신한, 하나, 우리, 국민, 기업, IM뱅크(대구), 부산, 경남, 광주, 전북) - 신청 후 약 2주 동안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 심사를 진행합니다.
- 심사를 통과했다면 다음 달 초 계좌가 개설되고 신청한 은행 앱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는 은행을 통틀어서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가능.
※ 청년희망적금과 중복으로 가입할 수 없습니다.
혜택 추가 안내
- 신용 점수를 올릴 수 있어요.
2년 이상 가입하고 800만원 이상 납입하면 신용점수를 5~10점 추가로 줘요 - 원스톱 청년 금융 컨설팅센터를 만들어요.
전문가의 컨설팅 서비스, 금융 강좌 등 금융 콘텐츠를 제공 - 부분 인출이 가능해집니다.
2년 이상 가입자 대상으로 누적 납입액의 최대 40% 이내로 부분 인출이 가능해져요. 부분 인출에 대한 이자, 이자소득세 부과 및 정부기여금 지급 기준은 중도에 해지한 경우와 동일 - 앱개선 및 금융 정보 제공을 강화합니다.
은행 앱의 사용자경험(UX)을 더 간편하게 개선합니다. 청년도약계좌 SNS개설 및 가입자 대상 프로그램 등 마련.